loading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RNA 스플라이싱 - Exon과 Intron Exon과 Intron DNA로 부터 Transcription이 일어나 m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mRNA가 주형 DNA의 모든 서열을 반영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DNA의 서열을 모두 반영했다고 하기에는 훨씬 짧은 길이의 mRNA가 transcription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을 스플라이싱(Splicing)이라고 합니다. 유전자 내부에는 비암호화 서열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을 interventing sequence라고 부릅니다. 보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용어는 인트론(Intron)입니다. 반면 유전 정보를 담고 있어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할 수 있는 부위는 Coding region 또는 Expressed region이라고 부릅니다. 이 역시 보다 보편적인 용어로 엑손(E.. 2022. 9. 2.
DNA가 유전물질임을 밝혀낸 연구들 박테리아 transformation 1928년 Griffith는 폐렴구균을 이용한 transformation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 실험을 통해 DNA가 유전물질 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살아있는 유독성 S 균주를 마우스에 주입하면 쥐가 죽는데 무독성 R 균주를 주입한 쥐는 살아남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유독성 S 균주를 가열해서 주입하면 이 때에는 쥐가 살아남는데, 열처리한 S 균주에 R균주를 같이 처리하면 이 때에는 쥐가 죽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이유는 열처리된 유독성 S 균주가 무독성 R 균주를 유독성으로 형질전환 시킨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형질전환 물질의 확인 1944년 Avery와 Colin, Maclyn은 Griffith의 실험에서 형질전환 물질의 화학적.. 2022. 9. 1.
Western Blot 웨스턴블랏의 기본 원리 Western blot의 기원 생물학 분야를 연구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실험기법 중 하나인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 Transfection을 수행한 이후 단계에서 plasmid가 잘 들어가서 안에서 타겟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하는 실험 기법입니다. 오늘은 아래의 순서로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estern blot의 기원 Western blot의 원리 및 실험방법 Western blot을 위한 SDS-PAGE Western blot의 대략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stern blot을 좀 더 세분화하여 SDS-.. 2022. 9. 1.
형질주입 Transfection Transfection의 방법 및 활용법 앞서 E.coli에 transformation하여 plasmid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Plasmid를 mammalian cell과 같은 system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ammalian cell등에 plasmid를 넣는 과정은 transformation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은 Transfection이라고 부르며 한국말로는 형질주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Transfection의 방법 및 활용법 Transfection이 잘 되는 cell Transfection과 연구 비용 Transformation 방법과 마찬가지로 Transfection도 한가지 방법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2022. 8. 31.
Plasmid DNA의 transformation(형질전환) Transformation이 필요한 이유 클로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Plasmid DNA를 E.coli(대장균)에 넣어서 증폭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이 과정을 Transformation이라고 부르는데, 한국어로 번역하면 '형질전환'이라는 단어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Transformation 과정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transformation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ransformation이 필요한 이유 Transformation의 방법 배지의 조성 Transformation은 위에서 cloning과정 중 E.coli에 넣어 증폭을 하기에 필요한 필수 과정이라고 간단하게 말씀드렸습니다. 이러한 목적 뿐만 아니라 E.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고자 할 때에도 사용되는 .. 2022. 8. 31.
PCR의 기본 개념과 원리 PCR의 기본 개념 DNA를 증폭시킬 수 있는 PCR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CR이라는 단어는 관련 학과 전공을 하고 있는 학생이나, 진학 희망 학생들 또는 고등학교 이과 수업을 들은 학생들 정도만 사용하는 용어였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PCR 검사방법이 도입되어 PCR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럼 PCR이 정확하게 어떤 방법이기에 코로나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인지 그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번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CR의 기본 개념 PCR의 단계별 과정 Cycle수와 증폭의 상관성 PCR 단어 역시 영어로 된 약자입니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약자로 한국어로 풀어보면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접미사.. 2022.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