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DNA gel elution의 방법과 원리 DNA elution의 방법과 원리 DNA elution kit가 spin column 방식이라면 column 중간 부분에 하얀색 membrane이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silica로 High salt 조건에서 bridge를 형성합니다. 보통 NaI solution 하에서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는데, 그렇게 되면 Silica-Na+의 구조를 형성합니다. Na+가 노출되어 있으면서 silica에 붙어있는 형태로, Na+와 DNA의 Phosphate (-) charge가 결합하여 결국 silica에 DNA가 붙잡혀 있는 형태가 됩니다. Washing 과정 후 DW나 Tris-EDTA 등의 buffer를 흘려주면 low salt solution이기 때문에 silica-Na+ bridge가 .. 2022. 9. 14.
DNA replication 과정 DNA replication에 필요한 효소들 DNA replication은 하나의 DNA로부터 2가닥의 DNA를 만들어내는 복제 과정입니다. 이 개념은 PCR을 설명할 때에 프라이머 세트를 따라 DNA가 복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비슷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자연적인 replication은 프라이머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PCR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습니다. DNA replication을 살펴보면 우리가 DNA를 합성해서 연장하는 데에 관여하는 효소로 잘 알고 있는 polymerase 외에도 여러 다른 효소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오늘 소개할 효소들은 helicase와 topoisomerase입니다. Helicase와 Topoisomerase의 역할 DNA 이중가닥이 복제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한 가닥.. 2022. 9. 13.
염색체 Chromosome의 세부 구조 염색체의 기본 구조 염색체와 DNA가 다른 것이 아니고, DNA가 히스톤 단백질을 감싸서 꼬아지고 압축되어 만들어진 것이 염색체(chromosome)이라는 설명을 DNA에 대한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린 바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어떠한 구조로 꼬이고 압축되는 과정을 거치는지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대부분의 진핵세포가 갖고있는 히스톤 단백질은 총 5개 입니다. H1, H2A, H2B, H3 그리고 H4입니다. 그래서 이 히스톤이 8개가 붙은 octamer를 DNA가 감싼 구조를 뉴클레오솜(Nucleosome)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약 6배가량 압축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이렇게 생성된 뉴클레오솜 사슬이 폴딩이 일어나면서 30nm fiber를 만들게 됩니다. .. 2022. 9. 8.
RT-PCR이란 어떤 기술인가 RT-PCR의 정의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일반 사람들에게 PCR이라는 용어가 익숙해졌습니다. PCR이란 지난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것처럼 Polymerase chain reaction입니다. 그 원리는 DNA를 프라이머를 붙여서 polymerase 효소를 이용하여 cycle수의 제곱만큼 DNA를 증폭시키는 기술입니다. RT-PCR은 PCR에 해당하는 세부 기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RT의 의미는 Reverse transcription을 의미합니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역전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Transcription에 대해 말씀드렸었는데,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transcription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거꾸로'라는 의미의 'Reverse'.. 2022. 9. 7.
신약 개발 과정에서 TPP(Target Product Profile)란 무엇인가? TPP의 정의 신약 개발을 담당하시는 연구자분들 중 TPP를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계실것입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TPP가 무엇인지, 왜 신약 개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지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TPP라는 것은 Target Product Profile의 약자입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꼭 설정하고 넘어가야 하는 개념인데 google에 검색했을 때 조차도 TPP라고만 치면 다른 용어가 주로 검색됩니다. 아직까지 신약 개발 단계에서 TPP가 무엇인지 경험해보지 못한 연구자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TPP라는 것은 약물을 개발할 때 목표 약물이 나타내는 물질적 특성을 정량 수치화 하여 정리한 물질의 특성표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TPP가 약물개발 초기단.. 2022. 9. 6.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내는 과정 - Transcription Transcription이란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transcription이라고 합니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전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DNA와 RNA의 차이에 대해 설명드렸던 것과 같이 DNA를 주형으로 하여 Transcription이 일어나면 mRNA가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또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exon 부분만 모아서 온전한 mRNA가 되는것처럼 intron이 제거된 상태의 mRNA는 splicing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mRNA로의 transcription은 주형으로 삼은 DNA의 상보적인 결합을 통해 서열이 결정됩니다. DNA가 A, G, C, T를 이용하는 반면, mRNA로 전사되는 과정에서는 A, G, C, U를 .. 2022.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