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생물학정보17

의약품 개발시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의약품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 독성 시험을 실시하게 됩니다. 일반 독성 시험이란 개발하는 의약품을 시험 동물에 투여하여 독성이 나타나는지 보는 실험인데요. 통상 단회 투여나 반복투여 등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단회 투여란, 단기간 내에 나타나는 독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짧은 시간내에 분할 투여하는 경우(불가피한 경우)도 단회 투여로 여기게 됩니다. 반복 투여 독성 시험이란 시험물질을 보다 오랜기간 반복적으로 투여하여 중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4주 반복 등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단회투여 독성 시험 방법 시험 동물 단회투여 독성 시험은 보통 설치류와 비설치류로 나우어 실시하게 됩니다. 비설치류의 경우 반복투여 .. 2023. 6. 2.
Western blot을 위한 SDS-PAGE Western blot의 대략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stern blot을 좀 더 세분화하여 SDS-PAGE부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Western Blot 웨스턴블랏의 기본 원리 Western blot의 기원 생물학 분야를 연구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실험기법 중 하나인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 innosyn.co.kr SDS-PAGE란? 단백질의 전기영동에 사용되는 SDS-PAGE는 SDS를 넣어 수행하는 PAGE 실험법입니다. PAGE는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 정도로 번역.. 2022. 12. 9.
파이펫(피펫)의 정확한 사용 가이드 파이펫팅(피펫팅)의 기본과 종류 분자생물학 연구를 이제 막 수행하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오늘의 포스팅을 조금 유심히 살펴보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파이펫(피펫이라고도 부르며 이후 글에서는 파이펫이라고 통일해서 부르겠습니다)은 분자생물학 연구자에게는 앞으로 핸드폰만큼 자주 만지고 사용하게 될 가장 중요한 장비입니다. 공용 공간에서 공용 파이펫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이 외 개인 실험대 공간에서는 필히 자신의 파이펫을 구비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같은 제조사의 파이펫이라도 누가 어떻게 사용하고 관리했는지에 따라 정확도와 손 끝 감각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각자가 자기 파이펫을 이용하고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분자생물학 연구에서 파이펫의 관리와 올바른 파이펫팅 방법의 숙지가 중요한 이유는.. 2022. 9. 16.
Restriction enzyme 제한효소 처리 실험에 대한 이야기 Restriction enzyme에 대하여 클로닝을 진행하다보면 RE cut 내지는 RE digestion, 혹은 한국어로 '제한효소 처리' 라는 단계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무엇이냐 하면 제한효소를 처리해서 특정 DNA 서열을 인지한다음 특이적인 모양으로 잘라내는 단계를 말합니다. 마치 가위로 DNA를 자르는데 가위 모양이 제한효소에 따라 생긴게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제한효소는 미생물로부터 유래됩니다. 발견된 미생물의 이름을 따서 제한효소의 이름을 붙여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EcoRI라는 효소의 이름을 살펴보면 Escherichia coli의 RY13이라는 strain에서 발견된 I (첫번째 효소)라는 의미입니다. 발음을 한글로 적어보자면 '이코알원' 이라고 부르시.. 2022. 9. 16.
실전 transfection 방법 (Lipofectamine 2000) 사용할 시약은? 이전 포스팅에서 Transfection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하였습니다. 오늘은 실제 transfection을 lipofectamine 2000 시약을 이용해서 어떻게 진행하는지 실전 방법을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Reagent를 이용한 transfection에는 여러가지 시약들이 출시되어 있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지금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lipofectamine으로 실험 방법을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Lipofectamine은 invitrogen 브랜드 제품입니다. 93년도에 출시된 시약으로 30년 가까이 여러 논문들을 통해 충분히 검증되어 온 믿을만한 시약입니다. 단점이라고는 비싼 가격 밖에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성능면에서는 아주 좋습니다... 2022. 9. 16.
Codon(코돈)과 translation Codon이란 무엇인가? Codon은 RNA로부터 단백질을 만드는 translation 과정을 설명할 때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DNA 구성 염기 A, G, C, T(RNA 입장에서는 T대신 U로 대체됨)가 3개씩 짝을 이뤄 아미노산 1개를 결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TG(RNA 입장에서 보면 AUG)로 배열되면 이것은 Met 아미노산이 됩니다. 동시에 ATG는 start codon 즉, translation의 시작점을 알리는 codon이 됩니다. 경우의수로 따지자면 4가지 염기가 각 자리에 들어올 수 있으니 4x4x4=64개의 codon이 존재합니다. 64가지가 모두 아미노산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고 UAG, UAA, UGA 3가지 조합은 stop codon을 만들어 냅니다. Translation이 종.. 2022.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