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생물학정보19

의약품 개발시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의약품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 독성 시험을 실시하게 됩니다. 일반 독성 시험이란 개발하는 의약품을 시험 동물에 투여하여 독성이 나타나는지 보는 실험인데요. 통상 단회 투여나 반복투여 등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단회 투여란, 단기간 내에 나타나는 독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짧은 시간내에 분할 투여하는 경우(불가피한 경우)도 단회 투여로 여기게 됩니다. 반복 투여 독성 시험이란 시험물질을 보다 오랜기간 반복적으로 투여하여 중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4주 반복 등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단회투여 독성 시험 방법 시험 동물 단회투여 독성 시험은 보통 설치류와 비설치류로 나우어 실시하게 됩니다. 비설치류의 경우 반복투여 .. 2023. 6. 2.
아토피 신약 듀피젠트 건보 적용 전망 글로벌제약사 사노피의 아토피 의약품 듀피젠트가 건보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매년 수백만원 이상의 약값을 부담해온 소아 청소년 아토피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희소식입니다. 약제 급여 평가위원회에서 심의 12일 심평원의 약제 급여평가위원회 결과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의 듀피젠트 200, 300mg에 대해 소아 청소년 아토피의 건보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결정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듀피젠트의 약물 성분명은 두필루맙입니다. 앞으로 제약사와의 가격 협상과 보건복지부의 심의 절차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늦어도 4~5월정도면 적용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듀피젠트 건보 적용 이전에는 아토피 피부염과 천식, 만성 부비동염에 효과가 있는 듀피젠트는 통상 2주마다 1회 주사하게 됩니다. 2020년 1월부터 성인.. 2023. 1. 13.
오존층 메워지고 있는 지구 최근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유엔환경계획, NASA, EU와 함께 발행한 '2022 오존층 고갈에 대한 과학적 평가' 보고서에서 지구 대기권의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존층의 역할 오존층은 지표면에서 10~50km 상공에 형성되어 있는 층으로 우주에서 들어오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 생명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오존층이 없다면 피부암 등의 발생률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데요. 프레온 가스 등 염화불화탄소 사용이 늘어나면서 1960년대 이후 지구 극지방에서 오존층 파괴 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했습니다. 오존층과 몬트리올 의정서 오존층의 파괴를 막기 위해 UN은 1987년 오존층 파괴 물질 사용을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채택하게 됩니다. 몬트리올 의정서는 1989년 1월 정식 발효되었습니다.. 2023. 1. 10.
Western blot을 위한 SDS-PAGE Western blot의 대략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stern blot을 좀 더 세분화하여 SDS-PAGE부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Western Blot 웨스턴블랏의 기본 원리 Western blot의 기원 생물학 분야를 연구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실험기법 중 하나인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 innosyn.co.kr SDS-PAGE란? 단백질의 전기영동에 사용되는 SDS-PAGE는 SDS를 넣어 수행하는 PAGE 실험법입니다. PAGE는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 정도로 번역.. 2022. 12. 9.
파이펫(피펫)의 정확한 사용 가이드 파이펫팅(피펫팅)의 기본과 종류 분자생물학 연구를 이제 막 수행하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오늘의 포스팅을 조금 유심히 살펴보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파이펫(피펫이라고도 부르며 이후 글에서는 파이펫이라고 통일해서 부르겠습니다)은 분자생물학 연구자에게는 앞으로 핸드폰만큼 자주 만지고 사용하게 될 가장 중요한 장비입니다. 공용 공간에서 공용 파이펫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이 외 개인 실험대 공간에서는 필히 자신의 파이펫을 구비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같은 제조사의 파이펫이라도 누가 어떻게 사용하고 관리했는지에 따라 정확도와 손 끝 감각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각자가 자기 파이펫을 이용하고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분자생물학 연구에서 파이펫의 관리와 올바른 파이펫팅 방법의 숙지가 중요한 이유는.. 2022. 9. 16.
Restriction enzyme 제한효소 처리 실험에 대한 이야기 Restriction enzyme에 대하여 클로닝을 진행하다보면 RE cut 내지는 RE digestion, 혹은 한국어로 '제한효소 처리' 라는 단계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무엇이냐 하면 제한효소를 처리해서 특정 DNA 서열을 인지한다음 특이적인 모양으로 잘라내는 단계를 말합니다. 마치 가위로 DNA를 자르는데 가위 모양이 제한효소에 따라 생긴게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제한효소는 미생물로부터 유래됩니다. 발견된 미생물의 이름을 따서 제한효소의 이름을 붙여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EcoRI라는 효소의 이름을 살펴보면 Escherichia coli의 RY13이라는 strain에서 발견된 I (첫번째 효소)라는 의미입니다. 발음을 한글로 적어보자면 '이코알원' 이라고 부르시..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