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생물학정보

의약품 개발시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by 분생 2023. 6. 2.

 

전임상 의약품 안전성 평가 일반독성 시험

 

 

의약품 안전성 평가 일반 독성 시험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 독성 시험을 실시하게 됩니다. 일반 독성 시험이란 개발하는 의약품을 시험 동물에 투여하여 독성이 나타나는지 보는 실험인데요. 통상 단회 투여나 반복투여 등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단회 투여란, 단기간 내에 나타나는 독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짧은 시간내에 분할 투여하는 경우(불가피한 경우)도 단회 투여로 여기게 됩니다. 

 

반복 투여 독성 시험이란 시험물질을 보다 오랜기간 반복적으로 투여하여 중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4주 반복 등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단회투여 독성 시험 방법

시험 동물

단회투여 독성 시험은 보통 설치류와 비설치류로 나우어 실시하게 됩니다. 비설치류의 경우 반복투여 독성의 용량 설정 시험 (DRF; Dose range finding)을 실시한 경우 예비시험을 단회 투여로 인정하기도 합니다. 시험 동물은 암, 수 모두에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군 당 동물 수는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 방법

투여 후 시험 동물의 치사량 확인, 일반적 증상의 관찰, 체중 측정, 육안적 소견, 병리학적 검사 등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반복투여 독성 시험 방법

시험 동물

반복투여 독성 역시 설치류, 비설치류로 구분하여 진행하고 암, 수 모두가 포함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류의 경우 최소한 n수를 10마리 이상 확보하여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설치류는 3~4마리 이상 확보하는 것이 좋으며 중간에 희생시켜 확인이 필요하거나 회복 시험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n수를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 방법

투여 경로는 임상에서 진행할 경로를 그대로 따라야 합니다. 투여 기간 역시 임상을 계획한대로 따라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의약품 개발을 할 때 TPP (Target product profile)을 설정하고 초기 실험부터 잘 구축해나가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초기 시험을 예를들어 근육주사로 진행해놓고 임상에 가서는 정맥투여로 변경하면 안됩니다. 임상에서 부득이하게 정맥투여로 변경이 필요할 경우 앞선 비임상 시험들을 모두 정맥투여로 바꾸어 다시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래서 초창기에 TPP를 설정한 그대로 TPP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신약 개발 과정에서 TPP(Target Product Profile)란 무엇인가?

TPP의 정의 신약 개발을 담당하시는 연구자분들 중 TPP를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계실것입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TPP가 무엇인지, 왜 신약 개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지를

innosyn.co.kr

 

시험 결과 분석

반복투여의 시험 결과는 일반적 증상, 체중, 사료와 물 섭취량 등 기본 검사와 더불어 혈액, 소변, 안과학적 검사 등을 모두 거치게 됩니다. 이후 마찬가지로 육안적 소견과 병리학적 검사를 함께 실시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