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생물학정보19

신약 개발 과정에서 TPP(Target Product Profile)란 무엇인가? TPP의 정의 신약 개발을 담당하시는 연구자분들 중 TPP를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계실것입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TPP가 무엇인지, 왜 신약 개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지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TPP라는 것은 Target Product Profile의 약자입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꼭 설정하고 넘어가야 하는 개념인데 google에 검색했을 때 조차도 TPP라고만 치면 다른 용어가 주로 검색됩니다. 아직까지 신약 개발 단계에서 TPP가 무엇인지 경험해보지 못한 연구자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TPP라는 것은 약물을 개발할 때 목표 약물이 나타내는 물질적 특성을 정량 수치화 하여 정리한 물질의 특성표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TPP가 약물개발 초기단.. 2022. 9. 6.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내는 과정 - Transcription Transcription이란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transcription이라고 합니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전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DNA와 RNA의 차이에 대해 설명드렸던 것과 같이 DNA를 주형으로 하여 Transcription이 일어나면 mRNA가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또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exon 부분만 모아서 온전한 mRNA가 되는것처럼 intron이 제거된 상태의 mRNA는 splicing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mRNA로의 transcription은 주형으로 삼은 DNA의 상보적인 결합을 통해 서열이 결정됩니다. DNA가 A, G, C, T를 이용하는 반면, mRNA로 전사되는 과정에서는 A, G, C, U를 .. 2022. 9. 5.
RNA 스플라이싱 - Exon과 Intron Exon과 Intron DNA로 부터 Transcription이 일어나 m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mRNA가 주형 DNA의 모든 서열을 반영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DNA의 서열을 모두 반영했다고 하기에는 훨씬 짧은 길이의 mRNA가 transcription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을 스플라이싱(Splicing)이라고 합니다. 유전자 내부에는 비암호화 서열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을 interventing sequence라고 부릅니다. 보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용어는 인트론(Intron)입니다. 반면 유전 정보를 담고 있어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할 수 있는 부위는 Coding region 또는 Expressed region이라고 부릅니다. 이 역시 보다 보편적인 용어로 엑손(E.. 2022. 9. 2.
DNA가 유전물질임을 밝혀낸 연구들 박테리아 transformation 1928년 Griffith는 폐렴구균을 이용한 transformation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 실험을 통해 DNA가 유전물질 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살아있는 유독성 S 균주를 마우스에 주입하면 쥐가 죽는데 무독성 R 균주를 주입한 쥐는 살아남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유독성 S 균주를 가열해서 주입하면 이 때에는 쥐가 살아남는데, 열처리한 S 균주에 R균주를 같이 처리하면 이 때에는 쥐가 죽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이유는 열처리된 유독성 S 균주가 무독성 R 균주를 유독성으로 형질전환 시킨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형질전환 물질의 확인 1944년 Avery와 Colin, Maclyn은 Griffith의 실험에서 형질전환 물질의 화학적.. 2022. 9. 1.
Western Blot 웨스턴블랏의 기본 원리 Western blot의 기원 생물학 분야를 연구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실험기법 중 하나인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 Transfection을 수행한 이후 단계에서 plasmid가 잘 들어가서 안에서 타겟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하는 실험 기법입니다. 오늘은 아래의 순서로 Western blo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estern blot의 기원 Western blot의 원리 및 실험방법 Western blot을 위한 SDS-PAGE Western blot의 대략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stern blot을 좀 더 세분화하여 SDS-.. 2022. 9. 1.
형질주입 Transfection Transfection의 방법 및 활용법 앞서 E.coli에 transformation하여 plasmid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Plasmid를 mammalian cell과 같은 system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ammalian cell등에 plasmid를 넣는 과정은 transformation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은 Transfection이라고 부르며 한국말로는 형질주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Transfection의 방법 및 활용법 Transfection이 잘 되는 cell Transfection과 연구 비용 Transformation 방법과 마찬가지로 Transfection도 한가지 방법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2022. 8. 31.